QT 나눔
제 목 [] 목숨과 맞바꾼 물 한 대접 ...
본문
6-20-14 (금) <삼하 23:13~39>
다윗이 목 마르다 하니
세 용사가 목숨을 걸고 물을 길어 온다.
다윗은 그 물을 차마 마시지 못하고 하나님 앞에 부어 드린다.
그 모습을 상상해 보며 여러 각도로 묵상을 해 본다.
다윗은 왜 하필 자신의 고향 베들레헴의 우물물을 마시고 싶다 했을까?
아둘람 근처에는 물이 전혀 없었던 것일까?
아니면 아둘람 굴에 피신했을 당시 사울에게 쫓기는 신세이고 보니
마음이 허해져서 향수에 젖은것일까?
곡식을 벨 때… 라면 추수때를 말함일테고 더욱 향수에 젖을법도 하다.
나중에 가족들이 다윗을 찾아 아둘람으로 갔던것(위로차 간건 아니겠지만)을 기억해 보면
후자가 더 설득력있는듯 하다.
어쨋든 다윗 리더가 마음이 약해져서
감성에 빠져 무분별한 말을 발설하거나 억지를 부릴때
옆 사람들이 필요 이상으로 사서 고생하는 결과를 초래 하게 되는것을 본다.
그러한 리더를 옆에서 가까이 본 용사들은
생명의 위협을 무릅써서라도 리더의 마음을 헤아려 드리기 위해 적진을 향해 간다.
영원히 돌아오지 못할 journey가 될 수 있음에도…
세 용사가 물을 길어오자 다윗의 첫 반응이 어땠을까?
그 물을 받아 들고는 그제야 제 정신이 들이 않았을까?
대체 내가 지금 무슨짓을 한 것인가?
물 한그릇과 세 용사의 목숨을 맞바꾸는 짓을 하다니…
나라면 물 한 사발 받아 들고 마음이 찢어졌을것 같다.
“내가 너희들에게 못할짓을 했다.
하지만 너희의 이런 지극정성을 봐서라도 물 한 방울 남기지 않고 다 마실께여~~~ ” 했을것 같다.
근데 다윗은?
엥??? 웬 낭비???...
"내가 다시는 이런 일을 하지 아니하리이다…" 라며
하나님께 물을 부어 드린다.
얼핏보면 ‘다윗, 누구 약 올리나?’그런 생각이 들기도 한다.
"누가 나로 마시게 할꼬?" 그럴땐 언제고
"아~ 생명을 돌아보지 않고 갔다 오다니…" 라며 물을 쏟아 버린다.
왜 굳이 물을 하나님께 쏟아야했을까?
다윗의 마음을 묵상해 본다.
세 용사의 피와도 같은 물을 차마 벌커억~ 마셔 버릴수가 없었다.
인간인 자신이 그것을 취하는 대신에
그들의 헌신과 수고를 하나님 앞에 전제로 부어 올려 드렸다.
고귀한 생명과도 같은것을 감히 그들과 똑같은 인간이 받을 수 없기에
하나님께서만이 취하실 수 있는것 ! 이라는 생각이었을지도 모른다.
구체적인 실천 거리는 아직 떠오르지 않지만
두 party 의 입장에서 다음의 마음을 품기로 한다.
1. 세 용사중 하나처럼 교회 목사님의 속 마음을 좀 더 헤아려 드리기
때로는 100% 동의 되지 않는 부분이 있음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럴지라도 순종의 마음으로 support해 드리기
2. 마음 약해지고 감정에 치우쳐 투정 부리는 말을 함으로써
지체들의 마음을 무겁게 하는 리더되지 않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