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T 나눔
제 목 [] 수수께끼
본문
에스겔 17:1-10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수수께끼와 비유를 이스라엘에게 전하라고 말씀 하신다. 색깔이 화려한 큰 독수리는 바벨론, 연한 가지는 여호야긴, 포도나무는 시드기야, 다른 큰 독수리는 애굽으로 비유된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수수께끼는 무엇일까. 하나님은 그냥 말씀하시지 왜 비유로 말씀하시고 수수께끼를 내시는 것일까. 수수께끼의 어원은 어떤 사물을 빗대어 말하여 알아맞히는 놀이라고 한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과 게임을 하고 싶은신 걸까. 아무리 말해도 듣지 않으니, 관심을 갖도록 비유로 말씀하시고, 궁금해 지도록 수수께끼를 내시는 것일까. 하나님의 수수께끼는 무엇일까.
하나님께서 포도나무를 물이 많은 옥토에 심은 이유는 가지를 뻗고 열매를 맺어서 아름다운 포도나무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하나님이 선택하신 바벨론이라는 독수리에게로 가지를 뻗어 올라가던 이 포도나무가 변심하여 애굽이라는 다른 독수리에게 뿌리와 가지를 뻗으며 물을 달라고 청한다. 하나님은 이 장면에서, 그 나무가 능히 번성 하겠느냐(9), 그것이 심어졌으나 번성 하겠는냐(10)는 수수께끼를 내시며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질문 하신다. 그리고 하나님은 분명한 정답도 주신다. 그 뿌리가 뽑히고, 그 열매가 떨어지고, 그 새싹이 말라 죽으며, 동쪽 열풍이 불면 자라던 그 밭에서 곧 말라 버릴것이라는 답이다.
하나님 이름으로 바벨론과 언약 했다면, 애굽이 아무리 좋아보여도 바벨론을 배신하면 안되는 것이었다. 바벨론과 언약을 배반한 유다의 멸망이 정해진 것을 보면서, 하나님과 언약을 배반하면 심판을 피할길이 없음을 깨닫는다. 바벨론왕과 시드기야의 관계에서 하나님과 나의 관계를 점검해 본다. 때로는 순종하기 어려운 순종도 왜 결국은 순종해야 하는지 알것 같다. 하나님께 순종하지 않는 것은 결국은 세상에 순종하는 배신의 결과를 낳기 때문이다. 하나님과의 언약을 기억하는 것이 세상 나라에 뿌리를 내리려는 유혹에 넘어가지 않을 수 있는 유일한 길 이라는 것을 깨닫게 하신다.
수수께끼까지 내시며 자녀들의 관심을 끌어내어 돌이키게 하시려는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만나니 나도 엄마이기 때문에 깊은 공감을 하게 된다. 혹시 오답을 정답으로 알까봐 책 뒷편에 정답 노트까지 만들어 놓으신 하나님의 정성 앞에서 나를 돌아보게 하신다. 하나님을 등지고 온 마음과 정성을 다해 세상으로 달려가고 세상의 비위를 맞췄던 나를 완전 멸하지 않으시고 호흡은 남기시어, 하나님의 양식으로 먹이시고 입히시어 오늘의 나로 회복시켜 놓으신 아버지 하나님께 감사 드린다. 하나님 나를 보시기에 앞으로도 보수할 곳이 많겠다 하시겠지만 나는 아무 걱정이 없다. 보수 당하고 고침 받는 그 과정이 온전해지는 과정, 은혜의 시간이라는 것을 알아버렸기 때문이다. 오늘도 나에게 주신 한 가지 수수께끼를 출제자의 의도대로 잘 풀어내기를 간구하며 기도 드린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